안녕하세요 여러분
척척석사 냥입니다!
여러분은 혹시 하늘 보는 거 좋아하세요?
저는 제일 좋아하는 색이 하늘색일만큼
하늘도 좋아하고
하늘 사진 찍는걸 정말 좋아하는데요!
이렇게 예쁜 하늘을 볼 때마다 늘 들었던 궁금증!
"하늘은 왜 파란색일까..?"
"하늘이 파란 이유 바다랑 상관이 있나?"
다들 한번쯤은 궁금해하신 적이
있으셨을 것 같은데요!
그래서 오늘은
하늘이 파란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해요!
우선 하늘이 파란 이유를
물리적으로 설명하자면
"빛의 산란"
이 4글자로 정의할 수 있는데요!
이렇게만 들으면 너무 어렵죠?
제가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우리의 태양빛은 사실 투명색이 아니라
무지개에서 볼 수 있는
빨주노초파남보
여러 색의 빛이 합쳐진 거
혹시 알고 계셨나요?
이러한 여러 빛들은
공기 속에 있는 미세한 입자들과 만나면
사방으로 방출되는데
이를 빛의 산란이라고 합니다!
산란이라는 단어가 어렵게 느껴지신다면
흩어진다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빛의 산란"이란?
태양빛이 공기 중의 작은 입자들과 부딪혀, 빛이 사방으로 재방출되는 현상
특히!
여기서 짧은 파장의 빛일수록,
즉 더 빠른 빛일수록
산란이 강하게 일어나는데
푸른빛의 파장은 0.45㎛
붉은빛의 파장은 0.71㎛인으로
푸른빛이 붉은빛 보다 6배 정도
더 강하게 산란되는 거예요!
정리하자면, 하늘이 파란색인 이유는
파장이 짧은 푸른빛(파란빛이)
파장이 긴 빨간빛, 주황빛보다
공기 중에서 더 많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해가 되시나요?
쉽게 말해
빛이 공기랑 만났을 때
푸른색 빛이 제일 많이 재방출되기 때문에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거랍니다!
바다가 파랗게 보이는 이유도 같은 원리예요!
Q. 그러면 하늘은 왜 보라색이 아닌가요?
파장이 짧을수록 산란을 잘하는데
보라색 빛이 파란색 빛보다 파장이 짧잖아요!
그런데 하늘이 파란색인 이유는
우리의 눈은 보라색보다는
파란색 빛에 더 민감해서입니다!
Q. 그럼 저녁(해질녘)에는 왜 하늘이 붉은색인가요?
해질녘에 보이는 붉은 하늘도
빛의 특성 때문인데요!
아까 파란색이 붉은색(빨간색)보다
산란이 잘된다고 했잖아요!
저녁에는 이미 낮에
산란이 잘 되는 파란색 빛들은 다 튕겨져 나가고,
파장이 긴 빨간색 빛들만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이에요!
이뿐만 아니라 해질녘에는
해와 관측자의 각도가 아주 작을 뿐만 아니라
거리도 상당히 멀리 떨어지기 때문에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려면
낮보다 더 많은 대기층을 통과해야 돼요!
그래서 이렇게 거치는 동안에
파장이 긴 적색 광선, 붉은색 빛이
우리 눈에 잘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하늘이 파란색인 이유
저녁에는 하늘이 붉은색인이유!
하늘이 보라색이 아닌 이유에 대해
다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간단하게 미세먼지 농도 단위 읽는법 (0) | 2023.04.09 |
---|---|
LB 배지 만들기 및 신체 미생물 배양 실험 레포트 (0) | 2023.04.04 |
대학교 수석 졸업이 알려주는 대학교 학점 잘 받는 법 (0) | 2023.03.30 |
식물의 기공과 공변세포 관찰 실험 레포트 (0) | 2023.03.25 |
대학원 컨택 메일 보내는법/ 컨택 메일 양식과 잘쓰는 꿀팁 (0) | 2022.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