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LB 배지 만들기 및 신체 미생물 배양 실험 레포트

300x250

<실험 제목>

 

배지 만들기 및 신체 미생물 배양 

 

 

<실험 목적>

 

실제 생활하면서 다른 곳에서 옮겨왔거나, 신체 내 자라고 있는 미생물들을 배양함으로써,

우리 주변에 출현하는 미생물의 종류와 위생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실험 재료>

Petri dish, LB agar, distilled water, 면봉, Auto clave, Incubator 

 

 

<실험 방법, Methods>

 

① LB agar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시약을 정량으로 섞어준 뒤, auto-clave를 121'C에서 15분간 실시한다. (100mL당 Tryptone 1g, NaCl 1g, Yeast 0.5g, Agar 1g)

② Auto-clave 동안 petri dish 뒤에 labeling을 한다. (조, 실험자 이름, 실험부위, 날짜)

③ Petri dish에 적정량의 LB agar를 붓고, 식혀 굳힌다.

④ LB agar가 굳으면, 한 plate는 원하는 장소에서 일정 시간 동안 열어두고, 다른 plate 위에는 멸균된 면봉으로 신체부위를 긁은 후 도말한다.

⑤ 배지는 뒤집어서 37’C incubator에서 배양한다.

⑥ 다음 날 colony를 관찰한다.

 

<실험 결과, result >

 

배지 사진 및 배양 후 형성된 colony 사진

LB 배지 colony 형성

LB 배지에 도말후, colony가 잘 형성된 것을 관찰 할수 있다. 

신체 미생물 배양 LB 배지

 

<고찰, Discussion>

 

우리 실험 조에서는 귀 뒤와 손을 사용하여 신체의 미생물을 배양하였다.

귀 뒤에서 긁은 후 도말한 배지에서 배양된 미생물의 크기는 매우 작지만 밀집된 상태로 관찰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손에서 긁은 후 도말한 배지에서 배양된 미생물은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관찰할 수 있었다.

 

우선, 모두 신체의 피부에서 채취한 미생물이기 때문에

본인은 이들을 ‘피부세균총‘의 한 종류 일 것임으로 추측하였다.

 

피부는 세균의 발육에 적합한 환경을 갖고 있기 때문에 태생기에는 무균적이었던 피부도 출생후

즉시 세균오염을 받아 각종의 세균이 존재하게 된다.

이들 정상피부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집단을 피부세균총이라 하고

상재균과 비상재균으로 분리된다. 상재균에는 표피부도우구균과 좌창성간균이 있다.

 

비상재균은 때로 피부에 부착해 일정기간 생착하지만 피부의 자가정정 작용과 다른 세균과의 길항을 위해 사멸한다.

또한 두 plate에서 관찰된 colony의 모양은 모두 구와 점박이 모양이었다.

이들의 모양과 크기, 세균들의 특징을 고려하였을 때 대장균과 황색포도상구균으로 유추하였다.

 

 

또한 이번 실험에서는 신체의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해서 ‘배지‘가 사용되었다.

실험을 진행하면서, LB agar은 배지의 한 종류인가?라는 궁금증과

배지의 구성성분 및 배양조건 및 실험 각 단계가 지니는 의의에 대하여 호기심이 생겼다. 이에 대해 탐구해 보겠다.

 

<배지란 무엇인가?>

 

배지(medium)란 미생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한 것이다.

실험실에서 세균을 인위적으로 배양하기 위해 배지를 사용한다.

미생물 배지는 크게 고체 배지와 액체 배지로 나뉘는데,

고체 배지는 다시 1) 액체 배지에 한천이나 젤라틴을 넣어 굳힌 배지와 2) 처음부터 고체인 것으로 나뉜다.

전자가 보통의 고체 배지이고 후자의 예로는 감자 배지, 밀기울 배지 등이 있다.

 

->이번 실험의 목표가 신체 미생물 배양이기 때문에,

미생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한 배지를 실험에 활용하였다.

이번 실험에서는 고체 배지가 사용되었다.

 

 

<도말 과정>

 

methods의 4번 단계에서는 멸균된 면봉으로 신체부위를 긁은 후 도말하는 과정이 존재한다.

->한천을 첨가한 배지를 페트리접시(샤레)에 흘려보내 굳어진 것을 평판 plate이라고 하는데, 이 한천평판을 이용해서 세균을 배양하는 것이다. 평판배양은 주로 균의 증식과 분리를 목적으로 행하여진다.

 

또한 균주를 평판에 도말해서 배양하면 대량의 균을 얻을 수 있다.

-> 그래서 method에서 도말과정이 존재하였고, 이를 통해 미생물을 잘 관찰할 수 있었다.

만약, 도말이 잘 되지 않았다면 미생물 관찰에서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다.

우리 실험 조에서는 귀 뒤와 손을 면봉으로 긁어서 미생물을 배양하였고, 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관찰 후 배양이 예상되는 미생물은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대장균과 황색포도상구균이다.

 

또한 결과를 관찰하면서, tryptone과 yeast extract, NaCL이 역할 및 중요성을 완벽히 파악할 수 있었다.

세균의 주요 구성성분이 단백질이기에 Tryptone이 그들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고, yeast extract는 풍부한 영양소를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성장 및 colony 형성에 기여한다.

 

또한 Nacl은 미생물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한 삼투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이러한 모든 물질들이 모여서 미생물 배양이라는 실험을 완성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이 끝나고 LB agar에 대해서 알아보면서, LB agar은 미생물이 자라기에 풍부한 영양소를 지닌 배지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 실험에서는, 최소배지에서 미생물이 자라는 실험 또한 진행해 보며 미생물의 배양 조건을 달리하여 결과를 이끌어볼 것이다.

 

 

 

생명과학실험

대학생레포트

레포트쓰는법

실험레포트

실험레포트쓰는법

LB 배지 제작 방법

신체 미생물 배양 방법

신체 미생물 관찰

고등학생 과학 실험

대학생 과학 실험

중학생 과학 실험

초등학생 과학 실험

과학 실험 추천

간단한 과학 실험

 

반응형